국가 예산으로 조성하는 용산공원은 2007년에 제정된「용산공원조성특별법」을 근거로 기본계획을 거쳐 현재 공원화 단계에 있다(국토교통부, 2017: 8). 2016년에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국가도시공원 내용이 추가되었으나 2021년 현재까지 이 법에 근거한 조성 사례는 없다. 부산광역시의 낙동강하구역과 인천광역시의 소래습지생태공원 일대를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국가도시공원에 대한 학술연구로는 박구원(2009), 손용훈(2011), 김현(2012), 슬랫모 외(Slätmo et al., 2021)가 있다. 국내연구는 일본의 국영공원을 주 대상으로 하여 광역 레크리에이션 거점으로서 특성과 역할, 국영공원의 도입배경, 조성 및 관리현황, 주민참여 프로그램 등을 다루었다. 해외연구로는 스웨덴과 핀란드의 국가도시공원 사례를 비교하고 국가와 공공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의 국가가 조성하는 공원녹지 사례를 통하여 국가도시공원의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국내사례로 국가에서 지정·조성·운영하는 공원과 정원에 대해 살펴보고, 해외 국가도시공원 사례를 고찰하여 한국형 국가도시공원이 실현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