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LA TALK+, 2018


Contents

조경연구회 BoLA와 함께하는 공원 보존과 아카이브의 가능성 탐색


Date

2018.11.30.

공원 보존과 아카이브의 가능성 탐색

보라는 2018년 서울대학교 통합설계/미학연구실(IDLA)에서 개최하는 오픈 세미나에 초대받아 그간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발표주제와 발제자는 다음과 같다.

 

- 도시공원 보존의 가능성 탐색(박희성, 길지혜, 채혜인)

- 조경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이명준, 김정화, 서영애)

 

도시공원 보존의 가능성 탐색

박희성, 길지혜, 채혜인

 

최근 해외에서는 도시공원에 대해 역사도시공원으로서 유산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생활권공원 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주제공원 중 하나의 유형으로서 ‘역사공원’ 있다. 여기서 의미하는 역사공원은 ‘도시의 역사적 장소나 시설물, 유적·유물 등을 활용하여 설치하는 공원’으로, 도시공원의 기능과 주제에 따라 세분된 것일 뿐이며, 국내에서는 이러한 도시공원의 보존가치에 대해서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이에 최근 영국, 미국, 일본 등에서 역사도시공원을 보존하게 배경과 보존원칙, 구체적인 사례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보존이 필요한지, 우리 도시공원에서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지, 그리고 도시공원 아카이브의 필요성에 질문을 던졌다.

조경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이명준, 김정화, 서영애

(2018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내용과 동일, http://www.bola.kr/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