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게재]

미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 동향과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When Constructing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the US

Author

이명준, 김정화, 서영애

Myeong-Jun Lee, Jung-Hwa Kim, Young-Ai Seo

Journal

한국조경학회지 47권 6호, 1~11쪽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47, no. 6, pp. 1-11

Published Online: Dec 31, 2019

https://doi.org/10.9715/KILA.2019.47.6.001

Abstract

이 연구는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구축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둔다. 미국의 공공·대학·연구기관에서 운영하는 조경 아카이브 일곱 곳을 대상으로 아카이브 형성 배경, 기능, 범위와 대상, 수집 방법, 분류 체계, 활용 방법을 검토한 결과,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경관의 가치와 중요성 인식이 아카이브 형성 배경에 주요하게 작용한다. 둘째, 아카이브의 목적은 경관의 다양성과 의미에 대한 대중의 인식 고취와 교육에 있다. 셋째, 아카이브의 대상과 범위는 각 운영기관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넷째, 수집 방법으로는 자료 기증이 주를 이루며, 이외에 자료 구매와 기록화 작업 등이 있다. 다섯째, 아카이브의 분류 기준은 사람, 작품 혹은 장소, 자료 유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아카이브대상과 범위에 따라 차별화된 경향을 보인다. 여섯째, 미국의 조경 아카이브는 다양한 전문가와 조직의 참여와 협업, 그리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재정이라는 밑바탕 위에서 구축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조경 아카이브 구축에 대해 세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경 아카이브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과 차별화된 주제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적합한 자료 수집, 분류, 기록, 디지털화 방법과 체계를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기초 연구와 시범 아카이브 구축 등이 필요하다. 셋째, 학술과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한 아카이브 활용 방안을 개발하고, 재정 확보와 관련 제도 마련을 통해 아카이브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when constructing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reating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Focusing on seven American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operated by public institut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mission, scope, subject, acquisition,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in the archiv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landscape plays a major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second, the purpose of the archives is to educate and encourage people to find diversity or significance of landscapes; third, the subject and scope of the archives va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operating institution; fourth, the main acquisitional method is to receive a donation and to purchase materials or documents; fifth,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each archive differs depending on the subject and scope; and sixth, the archives were built on the basis of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with various experts and organizations with stable and sustainable financial resources. These characteristics offer three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Korea. First, a long-term vision for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and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ed themes are required. Second, appropriate methods of material collection and systems of classification, recording, and digitization are necessary and therefore research and pilot archives are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archives by developing ways to utilize the archives in connection with academic and educational programs, thereby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and allowing for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policies. As basic research,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Korea.

Keywords

공원 아카이브, 조경사, 조경가, 기록화, 디지털화

Park Archives,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s, Documentation, Digitalizing